부동산의 개념
부동산은 물리적인 측면에서는 토지와 건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에서 토지는 땅의 지면부터 지하까지의 모든 것을 포함하며, 건물은 토지 위에 세워진 구조물을 말합니다. 이 두 가지 요소가 결합하여 부동산이 형성됩니다.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은 부동산의 이해를 돕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먼저, 토지는 부동산의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토지는 자연에 존재하는 자원으로, 부동산의 위치와 크기, 지형, 지하수, 토양 등의 특성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부동산의 가치에 있어서 토지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도심지에 위치한 대지는 경제적 가치가 높으며, 거주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산간지역에 위치한 대지는 경제적 가치가 낮으며, 주로 농업이나 임업 등에 이용됩니다 또한, 건물은 부동산의 다른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건물은 주거, 상업, 공업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건물은 크기, 형태, 구조, 시설 등의 요소로 구분됩니다. 건물의 가치는 건물의 용도, 크기, 시설, 위치 등의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한 고층 빌딩은 경제적 가치가 높습니다. 반면에, 주택이나 단독 건물은 주로 거주지로 사용되며, 실제 거주할 사람들에게 필요한 시설과 인프라가 중요한 가치 요소가 됩니다. 토지와 건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부동산은 자체적인 가치를 가지며, 이 가치는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으로 나타납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부동산의 크기, 위치, 용도, 건물의 상태, 시설 등의 요소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에서는 토지와 건물의 가치가 별도로 측정되며, 이 두 가지 가치가 결합하여 부동산의 총 가치가 결정됩니다.
부동산의 분류
부동산은 종별과 유형별로 다양하게 분류됩니다. 부동산의 분류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조금 더 심도 깊은 평가와 이해가 가능할 것입니다. 부동산의 분류에 대해 종별과 유형별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종별로 토지는 측량법상 경계가 정해져 있는 자연지의 토지와 경계가 불분명한 토지, 도로, 철도, 강, 호수, 인공연못, 헬기장 등 비건축물을 포함합니다. 토지는 이용목적에 따라 주거지, 상업지, 공업지, 농지, 산지 등으로 구분됩니다. 또한, 거래 방식에 따라 매매, 임대, 공유, 전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건물은 건축물을 의미합니다. 주거용, 상업용, 공업용 등으로 분류되며, 건축구조, 재료, 나이, 위치 등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매립지란, 쓰레기, 폐기물, 도로공사 등으로 인해 쌓여진 쓰레기나 흙 등의 대규모 폐기물을 말합니다. 매립지는 이전에는 폐기물 처리의 문제로만 인식되었지만, 최근에는 재활용이나 에너지 생산 등 다양한 활용이 이루어지며, 관련된 부동산도 존재합니다. 수상부동산은 강, 호수, 인공연못 등의 물 위에 위치한 부동산을 말합니다. 수상부동산은 여러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항, 저수지, 해상부동산 등으로 구분됩니다.
유형별로는 상업용 부동산은 상업, 사무실, 호텔, 병원 등의 건물로 이루어진 부동산을 말합니다. 대부분 임대 목적으로 사용되며, 임대료 수익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거용 부동산은 주택, 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건물로 이루어진 부동산을 말합니다. 대부분 자가거주 목적으로 사용되며,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닙니다. 유형별 주거용 부동산에는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아파트 등이 포함됩니다. 단독주택은 단독으로 사용되는 주거용 부동산으로,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개 1가구만 거주합니다. 대개 일반적인 주택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 면에서 유연한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토지 면적과 건물 크기 등이 크기 때문에 유지 보수 비용이 높을 수 있습니다. 다가구주택은 단독주택과는 달리 여러 가구가 함께 사용하는 주거용 부동산입니다. 다가구주택은 부동산 분양시 대출한도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출한도가 낮은 가구들이 부담 없이 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주거공간이 제한적이어서 쾌적한 생활을 보장하기 어렵고, 인테리어 등을 개별적으로 수정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아파트는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거용 부동산으로, 대개 고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생활 편의 시설이 제공되며, 경제적인 면에서 단독주택이나 다가구주택에 비해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인접한 이웃과의 생활 소음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 공간의 부재로 인한 불편함 등의 단점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주거용 부동산의 유형으로는 다가구주택에 유사한 연립주택,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는 기숙사, 숙박시설인 호텔 등도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별 분류는 부동산 시장에서 적합한 가격을 책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정보가 됩니다.
부동산의 분류 목적
부동산을 종별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은 부동산 시장에서 적합한 가격을 책정하고 이를 토대로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임대하는 것을 돕기 위한 것입니다. <종별적으로 분류>할 때는 대개 상업용, 주거용, 토지 등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종별 분류는 해당 부동산이 어떤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상업용 부동산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대개 더 높은 가치를 가집니다. 반면 주거용 부동산은 상업용 부동산보다는 가치가 낮을 수 있습니다. <유형별로 분류>할 때는 대개 아파트,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등으로 분류합니다. 이러한 유형 분류는 해당 부동산이 가진 특징을 고려하여 매매나 임대 시에 적합한 가격을 책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아파트는 다수의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거용 부동산으로, 공동시설 및 편의시설 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주거용 부동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단독주택은 개인의 생활 공간으로써 다른 주거용 부동산에 비해 가치가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종별과 유형별 분류는 부동산 시장에서 적합한 가격을 책정하고 부동산을 매매하거나 임대하는 것을 돕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동산 > 부동산 감정평가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시장론] 부동산 지역분석과 개별분석 (0) | 2023.04.12 |
---|---|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시장의 시장분석 (0) | 2023.04.12 |
[부동산시장론] 부동산시장과 대체시장간의 관계 (1) | 2023.04.12 |
[부동산의 특성] 부동산 토지의 자연적 특성 (0) | 2023.04.12 |
부동산 감정평가에서 환원이율과 할인율 (0) | 2023.04.11 |